Surprise Me!

[뉴스분석]‘12번 방북’ 성 김, 北과 마지막 승부

2018-05-28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비핵화 문제를 논의하는 한국, 미국, 그리고 북한의 움직임이 빨라졌습니다. 관련 내용 하태원 국제부장과 뉴스분석으로 이어가겠습니다. 분석 키워드부터 소개해 주시죠? <br> <br>오늘의 키워드는 <바톤터치> 입니다.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북한과 미국간 비핵화 담판을 견인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. 주한미국 대사를 지냈던 성 김 필리핀 대사가 전면에 나서기 시작했습니다. <br><br>[질문1] 성 김 대사가 바톤을 받았다는 이야기 같은데 누구한테서 인계 받은 거죠? <br><br>이번 북-미정상회담 성사과정에서는 한국계 미국인들의 활약이 눈에 띕니다.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주연이긴 하지만 눈부신 조연들의 활약이 있었던 셈인데, 회담을 성사시키는 물밑 대화과정에는 앤드류 김 미국 중앙정보국 한국미션센터장의 활약이 컸습니다. 평창올림픽에서의 만남이나 폼에이오의 2차례 방북 모두 앤드류 김의 활약기 컸습니다. 이후 가장 중요한 부분인 비핵화 협상에는 성 김 전 주한미국대사가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. 이번 회담의 성패를 가를 비핵화 논의를 위해 채용된 청부협상가인 셈입니다. <br><br>[질문2] 성김 전 대사로 기억하시는 분들 많을 텐데 오바마 정부 이후 오랜만에 듣는 이름인 듯? <br> <br>2005년 부터 6자 회담에 협상 대표로 참석했으니 13년 정도 북핵문제를 다뤄온 베테랑인 셈입니다. 사상 첫 한국계 미국대사라는 기록을 남겼고, 6자 회담 수석대표를 맡기도 했습니다. 다만 협상장에 수석대표로 나서지는 못했던 비운의 협상대표 이기도 합니다. <br><br>[질문3] 그리고 협상 최전선에서 북한을 숱하게 방문했죠? <br><br>2007년 2.13 합의가 이뤄진 뒤에는 거의 매달 평양을 방문했습니다. 협상을 낙관적으로 보는 긍정적 성격의 소유자이기도 했는데요. 2007년 방북 당시에도 북한의 비핵화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습니다. <br><br>[성김]<br>"매우 유용했습니다. 영변 핵시설을 방문했는데 여러가지 불능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. 대단히 생산적인 방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당시 협상 분위기가 나쁘지 않았던 탓인지 북한이 보여주는 것을 믿으려 한 것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듭니다. <br><br>[질문4] 당시 성 김 대사의 직속상관 격인 힐 전 차관보는 재미난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죠? <br> <br>클린턴에게 갈루치가 있었다면,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에는 힐 차관보가 있었죠. 북한과 대형 핵합의를 한 뒤 가장 처절하게 북한에게 배신당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이 바로 힐 인데요. <br> <br>성 김 대사와 관련한 일환데. 북한의 핵시설을 다녀온 뒤 신었던 명품 구두에 농축우라늄의 흔적이 묻어 있었다는 내용을 소개했습니다. 기본적으로는 북한의 거짓말을 비난하는 내용이지만 가장 믿었던 참모인 성 김 대사가 현장까지 가고도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약간의 볼멘소리도 담겨 있다고 생각합니다. <br><br>[질문5] 쓰린 경험일텐데 성김, 북한을 상대하며 실패를 맛본 경험이 또 있죠? <br> <br>성 김 대사에게 가장 잊지 못할 장면 중 하나일 것 같습니다. 2008년 5월 판문점을 통해 북한에 가 2박 3일간 머무르면서 북한의 핵신고서를 받아 다시 판문점을 통해 귀환하는 장면입니다. 7개의 상자에 모두 2만 쪽에 이르는 자진 신고서 였습니다. 하지만 저 신고서는 이미 용도가 페기된 영변핵시설의 플루토늄에 대한 신고만 담겼습니다. 농축우라늄에 대해서는 철저히 부정했고 결과적으로 6자 회담이 깨지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. <br> <br>[질문6] 북한에 많이 속아봤던 김 대사 이번엔 각오가 남다르겠습니다. <br> <br>10년 전 자신을 속였던 김계관-최선희와 다시 마주하는 셈인데요. 엄청난 진통이 에상되는 대목입니다. <br> <br>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 <br>

Buy Now on CodeCanyon